떡
- 첫페지
- 료리소개
떡은 우리 나라의 특색있는 민족음식이다.
예로부터 우리 인민들속에서는 명절은 물론 생일이나 결혼잔치날 등 경사로운 날에는 의례히 떡을 만들어먹는것이 하나의 풍습으로 되여왔다.
떡이 생겨난 력사는 매우 오래다.
청동기시기 유적들에서 시루가 많이 나타난것으로 보아 우리 나라에서 이 시기부터 벌써 떡을 만들어먹었다는것을 알수 있다.
떡에 대한 기록은 세나라시기부터 많이 보이고있다.
떡은 발해시기에 더 발전하였으며 고려, 조선봉건왕조시기에는 그 종류가 많이 늘어나 기록에 나오는것만 하여도 수십가지에 달한다.
떡은 맛이 특별히 좋고 영양가가 높을뿐아니라 가공방법이 과학적이면서도 다양하고 품종이 대단히 많은 우수한 민족음식이다.
떡은 리용하는 기본재료에 따라 낟알로 만든 떡, 낟알가루로 만든 떡, 낟알가루에 다른 보조재료들을 섞어만든 떡으로 나누며 만드는 방법에 따라 찰떡류, 설기떡류, 백미떡류, 송편류, 쉬움떡류, 경단류, 전병류, 장식떡류 등으로 구분한다.
예로부터 우리 인민들속에서는 명절은 물론 생일이나 결혼잔치날 등 경사로운 날에는 의례히 떡을 만들어먹는것이 하나의 풍습으로 되여왔다.
떡이 생겨난 력사는 매우 오래다.
청동기시기 유적들에서 시루가 많이 나타난것으로 보아 우리 나라에서 이 시기부터 벌써 떡을 만들어먹었다는것을 알수 있다.
떡에 대한 기록은 세나라시기부터 많이 보이고있다.
떡은 발해시기에 더 발전하였으며 고려, 조선봉건왕조시기에는 그 종류가 많이 늘어나 기록에 나오는것만 하여도 수십가지에 달한다.
떡은 맛이 특별히 좋고 영양가가 높을뿐아니라 가공방법이 과학적이면서도 다양하고 품종이 대단히 많은 우수한 민족음식이다.
떡은 리용하는 기본재료에 따라 낟알로 만든 떡, 낟알가루로 만든 떡, 낟알가루에 다른 보조재료들을 섞어만든 떡으로 나누며 만드는 방법에 따라 찰떡류, 설기떡류, 백미떡류, 송편류, 쉬움떡류, 경단류, 전병류, 장식떡류 등으로 구분한다.

색개피떡은 백미가루에 세가지색갈의 즙을 따로따로 두고 익반죽한 다음 얇게 밀고 소를 넣어 만든 떡이다.
색개피떡
- 음식감(12명분)
- 기본음식감 백미가루 1.5kg, 떡쑥 100g, 지초뿌리 10g
- 보조음식감 록두 300g, 꿀 30g, 계피가루 3g, 참기름 20g, 소금 5g
- 만드는 방법
- 1. 록두는 타개여 껍질을 벗기고 삶아 보숭이를 만든 다음 계피가루, 소금, 꿀을 넣고 당콩만큼씩 하게 빚어놓는다.
- 2. 백미가루는 세등분하여 하나는 흰색으로 익반죽하며 하나는 지초뿌리즙을 두고 붉은색이 나는 익반죽을 만들며 다른 하나는 떡쑥을 찧어 얻은 즙을 넣어 익반죽을 한다.
- 3. 세가지 색의 반죽을 쪄낸 다음 각기 얇게 밀고 소를 넣어 개피떡을 만든 다음 참기름을 바르고 색을 맞추어 담아 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