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
- 첫페지
- 료리소개
떡은 우리 나라의 특색있는 민족음식이다.
예로부터 우리 인민들속에서는 명절은 물론 생일이나 결혼잔치날 등 경사로운 날에는 의례히 떡을 만들어먹는것이 하나의 풍습으로 되여왔다.
떡이 생겨난 력사는 매우 오래다.
청동기시기 유적들에서 시루가 많이 나타난것으로 보아 우리 나라에서 이 시기부터 벌써 떡을 만들어먹었다는것을 알수 있다.
떡에 대한 기록은 세나라시기부터 많이 보이고있다.
떡은 발해시기에 더 발전하였으며 고려, 조선봉건왕조시기에는 그 종류가 많이 늘어나 기록에 나오는것만 하여도 수십가지에 달한다.
떡은 맛이 특별히 좋고 영양가가 높을뿐아니라 가공방법이 과학적이면서도 다양하고 품종이 대단히 많은 우수한 민족음식이다.
떡은 리용하는 기본재료에 따라 낟알로 만든 떡, 낟알가루로 만든 떡, 낟알가루에 다른 보조재료들을 섞어만든 떡으로 나누며 만드는 방법에 따라 찰떡류, 설기떡류, 백미떡류, 송편류, 쉬움떡류, 경단류, 전병류, 장식떡류 등으로 구분한다.
예로부터 우리 인민들속에서는 명절은 물론 생일이나 결혼잔치날 등 경사로운 날에는 의례히 떡을 만들어먹는것이 하나의 풍습으로 되여왔다.
떡이 생겨난 력사는 매우 오래다.
청동기시기 유적들에서 시루가 많이 나타난것으로 보아 우리 나라에서 이 시기부터 벌써 떡을 만들어먹었다는것을 알수 있다.
떡에 대한 기록은 세나라시기부터 많이 보이고있다.
떡은 발해시기에 더 발전하였으며 고려, 조선봉건왕조시기에는 그 종류가 많이 늘어나 기록에 나오는것만 하여도 수십가지에 달한다.
떡은 맛이 특별히 좋고 영양가가 높을뿐아니라 가공방법이 과학적이면서도 다양하고 품종이 대단히 많은 우수한 민족음식이다.
떡은 리용하는 기본재료에 따라 낟알로 만든 떡, 낟알가루로 만든 떡, 낟알가루에 다른 보조재료들을 섞어만든 떡으로 나누며 만드는 방법에 따라 찰떡류, 설기떡류, 백미떡류, 송편류, 쉬움떡류, 경단류, 전병류, 장식떡류 등으로 구분한다.

감자떡은 삶은 감자를 짓이기거나 쳐서 만든 떡이다.
감자떡
- 음식감(4명분)
- 기본음식감 감자 500g, 감자농마 250g
- 보조음식감 마른 새우 20g, 분탕 15g, 푸초 20g, 닭알 1알, 소금 3g, 기름 10g, 참기름 10g, 마늘 5g, 후추가루 약간
- 만드는 방법
- 1. 감자는 껍질을 벗기고 찜가마에서 20~25분간 찐 다음 짓이겨 감자농마와 소금 2g을 두고 고루 반죽한다.
- 2. 마른 새우는 물에 불구었다가 잘게 다지고 분탕은 삶아 적당히 썬다. 닭알은 풀어서 볶은 다음 잘게 썬다. 푸초는 잘게 썰고 마늘은 다진다.
- 3. 기름을 두른 남비에 새우, 분탕, 푸초, 마늘을 두고 살짝 볶다가 나머지 소금과 후추가루, 참기름을 두고 맛을 들인 다음 볶은 닭알과 섞어 소를 만든다.
- 4. 감자반죽물을 30~40g씩 떼여 둥글납작하게 한 다음 소를 놓고 반달모양로 빚는다. 이것을 15~20분간 쪄서 참기름을 발라 그릇에 담아 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