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절음식
   옛기록들에는 설명절을 《세수》, 《년수》, 《원단》, 《원일》이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모두 한해의 첫날이라는 뜻이였다.
   설은 묵은 해를 보내고 새해 첫 아침을 맞는 명절이였으므로 사람마다 새로운 기분과 기대를 가지고 명절을 맞이하였다.
   지난날 우리 인민들은 설날이 오면 차례(제사)를 지내고 세배하며 설음식을 맛보면서 민속놀이를 즐겨하였다.
   설날 새벽에 제사를 하는 풍습이 있었는데 그것은 웃사람을 존경하는 풍습의 연장으로서 집안의 《번영》과 자손의 《흥》이 조상을 어떻게 위하는가에 좌우된다고 생각한 조상숭배관념에서 나온것이였다.
   제상에는 몇가지 음식과 함께 반드시 떡국을 올리였는데 이로부터 설날차례를 《떡국차례》라고도 하였다.
   설날음식을 《세찬》이라고 하였고 술을 《세주》라고 하였다.
   이날에는 특색있는 음식인 찰떡, 설기떡, 절편과 같은 떡과 지짐류, 당과류, 수정과, 식혜, 고기구이, 과실, 술 등을 마련하였다.
   떡국은 꿩고기를 넣고 끓이는것이 제격이였으나 꿩고기가 없는 경우에는 닭고기를 넣고 끓이였다.
   예로부터 전해오는 《꿩대신 닭》이라는 말은 설명절의 떡국과 관련되여 나왔던것이다.
   반드시 떡국을 먹어야 설을 쇠는것으로 여기였기때문에 떡국에 《첨세병》(나이를 더 먹는 떡)이라는 별명까지 붙이였다.
   설날에 처음으로 마시는 술을 《세주불온》(설술은 데우지 않는다)이라고 하여 찬술을 한잔씩 마시였다.
   이것은 옛사람들이 정초부터 봄이 든다고 보았기때문에 봄을 맞으며 일할 준비를 해야 한다고 여겨온데서 생긴 풍습이다.
   도소주는 오랜 옛날부터 전해오는 설술인데 설날아침에 마시였다.
   조피, 흰삽주뿌리, 도라지, 방풍 등 여러가지 고려약재를 넣어 만든 도소주를 마시면 그해 모든 병이 생기지 않는다 하였다.
   도소주는 나이가 젊은 사람부터 마시였는데 그 리유는 젊은 사람은 나이를 먹으므로 축하하는 표시로 먼저 마시게 하였고 늙은 사람은 나이가 먹어 더 늙어지는것이 아쉬워 나중에 마시였다고 한다.
   설날아침식사는 대체로 큰집에 모여서 집안식구들끼리 즐겁게 하고 세배군들이 찾아오면 술상이나 떡상을 대접하군 하였다.

떡국

   떡국은 우리 인민들이 설날에 꼭 만들어먹은 대표적인 설음식이다.
   설날에 백미떡으로 끓인 떡국을 먹게 된것은 사람들이 이날을 천지만물이 시작되는 날로 여기면서 엄숙하고 청결해야 한다고 생각한데로부터 나온 풍습이였다.
   떡국이 설날의 필수명절음식으로 되여있었던것으로 하여 떡국을 나이를 더 먹게 하는 음식이라는 뜻에서 《첨세병》이라고 불렀으며 《떡국을 몇그릇째 먹었느냐?》라는 말로서 나이를 에둘러 묻기도 하였다.
   또 《떡국이 롱간한다.》라는 표현도 있었는데 이것은 나이값을 한다는 뜻에서 쓰인 말이였다.
   일부 가정들에서는 설날에 떡국을 주식물을 대신하는 음식으로 먹기도 하였다.
   떡국은 꿩고기를 넣고 끓이는것이 제격이지만 꿩이 없는 경우에는 닭고기를 대신 쓰기도 하였다.
   지방에 따라 특색있게 만든 떡국들도 있었다.
   개성지방의 조랑떡국도 특색이 있었다.
   조랑떡이란 모양이 두개의 구슬이 조랑조랑 마주 붙어있는것 같이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개성사람들은 섣달 그믐날이면 온 집안식구가 모여앉아 밤새껏 참대칼로 떡국대를 밀어 누에고치모양의 조랑떡을 만들어서 함지에 그득 담아두었다가 설날아침에 국을 끓여먹었다.
   그래서 개성지방의 매 가정들에는 식구수에 해당한 참대칼이 늘 준비되여있었다고 한다.
   조랑떡을 참대칼로 만들게 된데는 그럴만한 리유가 있었다.
   개성을 수도로 하던 고려시기에 미각이 매우 예민한 왕이 있었다.
   그는 식칼로 썬 떡에서 나는 쇠비린내까지 감촉하고 몹시 싫어하면서 자기가 먹을 떡은 꼭 나무칼로만 썰게 하였다.
   이렇게 만든 떡은 그 모양이 곱지 못하나 맛이 아주 좋았다고 한다.
   그것이 민간에까지 퍼져 개성지방에 나무칼로 떡을 써는 풍습이 생겨났다는것이다.

음식소개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