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지날과 동지죽
우리 나라에서는 예로부터 11월을 동지달이라고 하며 이 달에서 밤이 제일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을 동지날이라고 불러오고있다.
민간에서는 동지가 음력으로 11월 초순에 들면 애동지라고 하였고 초순이 지나서 들면 로동지라고 하였다.
전해지는 말에 의하면 그해에 애동지가 들면 아이들에게 좋고 로동지가 들면 늙은 로인들에게 좋다고 했다.
이것은 동지날을 작은 설이라고 하여 동지가 며칠간이라도 빨리 들면 어린이들은 빨리 크기를 원하는 마음에서 좋은것으로 보았고 로인들은 여생이 얼마 남지 않은것으로 하여 동지가 늦게 들면 그만큼 오래 살게 된다고 생각한데로부터 생겨난 말이다.
그런가 하면 애동지가 드는 해에는 겨울이 춥고 로동지가 드는 해에는 그해 겨울이 춥지 않다는 말도 전해지고있다.
동지죽은 동지를 특징짓는 음식으로서 동지날의 음식가운데서 빠질수 없는 독특한 음식이다.
민간에서는 동지가 음력으로 11월 초순에 들면 애동지라고 하였고 초순이 지나서 들면 로동지라고 하였다.
전해지는 말에 의하면 그해에 애동지가 들면 아이들에게 좋고 로동지가 들면 늙은 로인들에게 좋다고 했다.
이것은 동지날을 작은 설이라고 하여 동지가 며칠간이라도 빨리 들면 어린이들은 빨리 크기를 원하는 마음에서 좋은것으로 보았고 로인들은 여생이 얼마 남지 않은것으로 하여 동지가 늦게 들면 그만큼 오래 살게 된다고 생각한데로부터 생겨난 말이다.
그런가 하면 애동지가 드는 해에는 겨울이 춥고 로동지가 드는 해에는 그해 겨울이 춥지 않다는 말도 전해지고있다.
동지죽은 동지를 특징짓는 음식으로서 동지날의 음식가운데서 빠질수 없는 독특한 음식이다.
동지죽
동지죽은 오랜 세월 우리 인민들의 동지날 특식으로 되여왔다.
그래서 지금도 사람들은 동지라고 하면 의례히 동지죽을 생각하며 꼭 쑤어먹고있다.
동지팥죽은 여느 팥죽과는 달리 찹쌀가루로 새알만 하게 동그랗게 빚은 오그랑이(알심 또는 새알심이라고도 함)를 두고 쑤었다.
동지죽을 쑬 때에는 다른것들보다 류달리 큰 오그랑이를 몇알 만들어넣군 하였는데 큰 오그랑이가 차례지는 아이에게는 복이 차례진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어머니들은 팥죽을 그릇에 담을 때 큰오그랑이가 아이들에게 고루 차례지도록 하는데 관심을 돌렸다.
대부분의 지방들에서는 더운 팥죽을 훌훌 불면서 먹기를 좋아하였지만 강원도에서는 팥죽을 그릇에 담아 살얼음이 질 정도로 차지도록 장독대에 올려놓았다가 따뜻한 온돌방에서 밤참으로 먹기도 하였다.
평양지방에서는 예로부터 동지죽을 동지날 해가 떠오르기 전에 쑤어먹는 풍습이 있었다.
동지죽은 좋은 음식이라 하여 이웃간에 서로 나누어먹기도 하였다.